원격 패키지 설치 (SSH)
1. SSH 설치
apt install -y openssh-client
apt install -y openssh-server
client : 정보를 요청하는 사람
server :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
2. 설치된 패키지 확인
dpkg -l | grep openssh
※ openssh-sftp-server는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3. SSH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rt ssh
systemctl enable ssh
** 해당 패키지를 시작했더라도 현재 상황이 정상인지 반드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권장사항).
systemctl status ssh
4. SSH 관리자 로그인 허용하기
sudo gedit /etc/ssh/sshd_config
[유저 암호 입력]
# 메모장은 유저 계정에서만 열 수 있고,
# 시스템 파일을 수정을 하기 위해 sudo 명령으로 관리자 권한을 받았습니다.
33번 라인의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을
PermitRootLogin yes
로 바꿔줍시다 (원격으로 루트로 로그인 하는것을 허용하는 작업)
4-1. 방화벽 해제
systemctl stop ufw # 현재 켜져있는 방화벽을 해제하기
systemctl disable ufw # 부팅할 때 방화벽 해제 상태로 부팅하게 하기
systemctl status ufw # 잘 적용 되었나 확인
5. SSH 접속하기
**본인의 IP에 접속해보기(테스트)
ssh 127.0.0.1
ssh localhost
ssh loopback # 셋 다 같은 명령
**다른 IP에 접속
ssh -l [계정명] [서버IP]
ssh [계정명@서버IP] # 둘 다 같은 명령
원격 패키지 설치 (Telnet)
1) 텔넷 설치
패키지 : telnetd, xinetd
- 록키 리눅스 : 텔넷 -> 포그라운드
- 우분투 리눅스 : 텔넷 -> 백그라운드
apt install -y xinetd telnetd
sudo gedit /etc/xinetd.d/telnet
메모장에 입력 :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이후 텔넷을 재시작하면 텔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ystemctl restart xinetd
2) 텔넷으로 원격접속 하기
telnet [IP주소]
실습
윈도우 10(실제 PC)에서 우분투로 MobaXter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텔넷접속 해봅시다.
단, 이 때 와이어샤크로 텔넷 내용을 스니핑 합시다.
1) MobaXterm 메뉴의 Session -> New Session으로 들어갑니다.
2) Telnet 선택 후 호스트IP와 유저이름(root) 입력후 OK
3) 새로 만든 세션 접속해 로그인
4) Wireshark 이더넷 접속 후 필터에 Telnet 입력해 스니핑 하면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