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본 구성 실습
<PC1> 터미널에 입력할 명령어
PC1> ip 172.16.1.1/24 172.16.1.254 # ip 실제아이피/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PC1> show ip # ip 설정값을 확인하는 명령어
<PC2>
PC2> ip 172.16.1.2/24 172.16.1.254
PC1과 PC2가 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ping을 보내 봅시다.
PC1> ping 172.16.1.2
<PC3>
PC3> ip 172.16.2.3/24 172.16.2.254
<PC4>
PC4> ip 172.16.2.4/24 172.16.2.254
마찬가지로 PC3과 PC4도 ping이 잘 되는지 확인해보자
<Router 1의 f0/0 회선>
R1>enable
# 가상 네트워크에서는 이미 입력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R1#configure terminal
# 전역설정(라우터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설정화면으로 들어가는 명령어
# 줄여서 conf t를 입력하거나 앞부분만 치고 탭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됩니다.
R1(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 # int f0/0
R1(config-if)#ip address 172.16.1.254 255.255.255.0 # ip add 172.16.1.254 255.255.255.0
R1(config-if)#no shutdown # no sh
R1(config-if)#interface serial 1/0 # int s1/0
R1(config-if)#ip address 172.16.12.1 255.255.255.0 # ip add 172.16.12.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down # no sh
R1(config-if)#end
# end = 한번에 처음으로 이동, exit = 한단계씩 밑으로 이동
R1# wr # 설정을 저장하는 명령어
# CISCO장비는 명령 앞에 no가 붙으면 반대 명령을 실행합니다.
잘 연결되었는지 ping을 보내봅시다.
R1#ping 172.16.1.1 # PC1로 ping를 보냄
<Router 2의 f0/0 회선>
conf t
int f0/0
ip add 172.16.2.254 255.255.255.0
no sh
in ts1/0
ip add 172.16.12.2 255.255.255.0
no sh
end
wr
<R1> 라우팅 프로토콜 선언
configure terminal
router rip
version 2
network 172.16.1.0
network 172.16.12.0
no auto-summary
end
wr
<R2> 라우팅 프로토콜 선언
configure terminal
router rip
version 2
network 172.16.2.0
network 172.16.12.0
no auto-summary
end
wr
여기까지 하면 모든 네트워크가 연결되고 PC1에서 PC4로 통신이 가능합니다.
<기타 명령어>
show run : 라우터의 모든 설정을 볼 수 있음
=> space : 한페이지씩 넘기기, enter : 한줄씩 넘기기
라우터간 텔넷 접속하기
R1(라우터1)에서 R2로 텔넷 접속하기
R1#telnet 172.16.12.2
# 암호를 설정했으면 암호를 입력하면 텔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 암호를 설정하지 않았으면 접속 불가!
텔넷 접속시 R1 - R2 시리얼 케이블을 와이어 샤크로 캡쳐하면 내역을 스니핑 할 수 있습니다.
패킷을 오른쪽 클릭 -> Follow -> TCP Stream으로 전체 내역을 한번에 볼 수도 있습니다.
케이블 연결 방식
1. 다이렉트 케이블
서로 인접한 계층간의 연결
2. 크로스 케이블
서로 인접하지 않은 계층간의 연결 (같은 계층이거나 멀리 떨어진 계층일 경우)
VPCS : 가상 컴퓨터
GNS3에서 제공하는 가상 컴퓨터는 Ping 테스트만 할 수 있습니다.
오직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점검하는 용도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 명령어를 이용하여 전체 도움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ip ? 명령어를 이용하여 아이피 설정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 ip 실제아이피/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 ip 192.168.5.250/24 192.168.5.1
CISCO 자격증에 대하여
보안 설계 운용(+보안)
CCSA CCDA CCNA : 환경설정
CCSP CCDP CCNP : 보안설정
CCIE : 총괄
회선 속도 설정
GNS3에선 회선속도가 자동으로 지정되지만,
실제 장비를 사용할 때는 회선속도를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conf t
int s1/0
clock rate 64000
# 회선속도(시리얼). 기본단위 : Byte
bandwidth 2048
# 대역폭. 기본단위 :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