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망(LAN)
=> MAC Address 통신 (Switch가 관리)
외부망(WAN)
=> IP Address 통신 (Router가 관리)
=> 아이피 주소 대신 도메인을 사용
=>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주소의 실제 아이피로 변환해주는
서버가 DNS입니다.
국외 : 8.8.8.8 (Google)
국내 : 168.126.63.1 (KT 분당)
168.126.63.2 (대학로)
7대 도메인
COM 영리기관
NET 네트워크 연구기관(비영리)
ORG 비영리기관
GOV 정부기관
EDU 교육기관
대학교 AC, 고등학교 HS, 중학교 MS
초등학교 ES, 유치원 KG, 기타학원 SC
INT 국제기관
MIL 국방기관
도메인의 구조
1st 도메인
-> 7대 도메인(+추가 7개 도메인) + 국가코드 2자리
COM, NET, GOV ...... KR, US, JP, CN .......
2nd 도메인
-> 1st 도메인이 국가코드를 사용하면
7대 도메인이 2nd 도메인으로 내려와서
2글자로 사용됩니다.
COM -> CO, GOV -> GO, ORG -> OR
3rd 도메인
->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공인된 기관에서
구입한 실제 도메인(회사이름)
ex)
도메인은 뒤에서부터 앞의 순서로 읽습니다.
. : ROOT DNS
KR : 1st 도메인, 국가코드
CO : 2nd 도메인, 영리기관
google : 3nd 도메인, 회사이름
www : 컴퓨터 이름
https : 프로토콜(홈페이지)
도메인 정보 확인하기
윈도우 CMD)
nslookup
리눅스)
nslookup
host
dig
/etc/hosts
=> 이 파일에 IP주소와 이름을 입력해 놓으면
도메인의 IP주소를 받는 작업을 생략해 빠르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etc/resolv.conf
=> 네임서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