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장비 (허리 브스 라~~게)
응용계층 : 게이트웨이 (서로다른 프로토콜 연결 -> 이기종)
표현계층
세션계층
전송계층
네트워크계층 : 라우터(최적경로)
------------------------↑↑↑↑WAN ↓↓↓↓LAN
데이터링크계층 : 스위치(VLAN충돌영역분리), 브리지(네트워크연결)
물리계층 : 허브(단순확장), 리피터(증폭)
OSI 7계층 프로토콜
응용계층 :
20,21 22 23 25 80 110 119 443
- TCP : FTP, SSH, TELNET, SMTP, HTTP, POP3, NNTP, HTTPS
- UDP : DNS, DHCP, TFTP, SNMP(망관리: 모니터링)
53 67,68 69 161
표현계층 : X
세션계층 : X
전송계층 : TCP(연결), UDP(비연결)
- TCP : 출발지와 목적지가 있음.
- UDP : 출발지와 목적지 둘중 하나는 없고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함.
네트워크계층(인터넷) : IP, IGMP, ICMP, ARP, RARP
ICMP -> 에러를 체크하는 프로토콜
IGMP -> 멀티캐스트, 그룹통신
ARP -> IP로 도메인 찾기
RARP -> 도메인으로 IP찾기
------------------------↑↑↑↑WAN ↓↓↓↓LAN
데이터링크계층 : MAC, LLC
물리계층 : 1계층은 프로토콜 없음
세션,표현,응용 계층 : 데이터,메시지
전송 계층 : 세그먼트
네트워크 계층 : 패킷
데이터링크 계층 : 프레임
물리 계층 : 비트
OSI 7계층 <=> TCP/IP 4계층
응용,표현,세션 <=> 응용
전송 <=> 전송
네트워크 <=> 인터넷
데이터링크,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라우터의 설정파일이 저장되는 곳
- NVRAM
MAC Address
- 48비트, 24비트=제조사, 나머지 24비트=일련번호
무선 통신할 때 무선랜 공유기 유무
- 있으면 Infrastructure 방식 사용
- 없으면 지그비, Ad-Hoc, 블루투스 방식 사용
무선 네트워크 범위
지그비(ZigBee) < Ad-Hoc < 블루투스
유선충돌 감지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 CSMA/CD에 기반한 네트워크 기술이 이더넷
무선충돌 감지
CSMA/CA
케이블링
크로스 케이블 : OSI 7계층 (동일계층 장비 연결)
-> 568A타입 : 녹백/녹/주백/청/청백/주/갈백/갈
다이렉트 케이블 : (인접계층 장비 연결) -> 다른장비
-> 568B타입 : 주백/주/녹백/청/청백/녹/갈백/갈
(기본값)
콘솔 케이블
전송제어 프로토콜
문자방식 : BSC, BASIC
바이트방식 : DDCMP
비트방식 : SDLC, HDLC
다중화 방식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주파수 분할 다중화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시분할 다중화
STDM (Statistical TDM)
-> 통계 시분할 다중화
IEEE 802.2 LLC - MAC
IEEE 802.3 Ethernet = CSMA/CD
IEEE 802.4 버스형 = 터미네이터 필요
IEEE 802.5 링형 = 토큰 1개 필요
IEEE 802.6 이중링형 = 토큰 2개 필요
------------------------------
IEEE 802.11 무선
IEEE 802.15 무선
정보와 신호에 따른 부호화 방식
아날로그 - 아날로그 : AM, FM, PM
아날로그 - 디지털 : PCM, DPCM, DM, ADM, ADPCM
디지털 - 아날로그 : ASK, FSK, PSK, APSK (QAM)
디지털 - 디지털 : NRZ, RZ, 양극성 바이폴라, 맨체스터 등
데이터 에러를 정정하는 기술
Hamming Code
오류 검출 방식 ARQ
Stop-and-Wait ARQ : 송신 확인 후 다음 블록 전송
Selective ARQ :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
Go-Back-N ARQ :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부터 재전송
IIS -> FTP, WWW, NNTP
=> SMTP는 처음엔 사용하다가 이후에 별도로 빠짐
액티브 디렉터리 : 회사의 인적/물적자원을 통합 (윈도우 서버의 핵심기능)
- 그룹정책
- DNS, DHCP 서버등과의 연계
- LDAP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
- dcpromo 명령으로 설치/삭제
- 도메인 : 회사 도메인
- 트리 : 도메인간의 연결고리
1방향트리(단방향), 2방향트리(양방향)
- 포리스트 : 도메인들의 집합
보안로그파일 로그 확인 -> 이벤트 뷰어
가상 메모리 <---> 램디스크(별도 프로그램 필요)
-> 메모리보다 프로그램이 크므로
-> 윈도우 : 가상메모리, 페이징파일 (OS가 관리/사용자 지정)
-> 리눅스 : Swap (사용자가 지정) ----> dd 명령어
-> 물리 메모리의 2배까지만 인식 가능
-> 하드디스크의 일정용량을 가상메모리로 지정
리눅스 옵션
--nodeps : 의존성을 따지지 않고 설치
--force : 강제로 작업을 실행
DNS 레코드 종류
A : 도메인을 아이피로 매핑
AAAA : IPv6용 (A와 같음)
NS : DNS 서버를 지칭
MX : 메일서버를 지칭
CNAME : 도메인을 도메인으로 매핑 (별명)
PTR : 아이피를 도메인으로 매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