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 2024. 7. 12. 16:49

OSPF 에어리어의 종류

특정 에어리어의 라우터가 외부 라우터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를 노멀 에어리어라 합니다.

 

R1 : IR

R2 : ABR

R3 : Backbone / ABR / ASBR

R4 : IR

R5 : 외부

 

 

R1의 라우팅 상태)

 

 

스터브 에어리어

노멀 에어리어를 스터브로 설정하면

알아서 외부 라우터의 정보를 축약해서 보내주므로

외부 라우팅 정보는 숨어서 표시되지 않지만

통신은 정상적으로 되는 스터브 에어리어 상태가 됩니다.

 

 

AREA1을 스터브 에어리어로 설정

R1)

conf t

router ospf 1

area 1 stub

R2)

conf t

router ospf 2

area 1 stub

 

R1의 라우팅 상태)

외부 라우트이 정보가 축약되서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토털리 스터브 에어리어

스터브 에어리어가 외부 라우터의 정보만 숨긴 상태라면

토털리 스터브 에어리어는 외부 라우터와 외부 에어리어의 정보가

전부 축약되는 에어리어입니다.

 

토털리 스터브 에어리어는 ABR에서만 선언해 주어야 하며

ASBR이나 Backbone 라우터에서는 선언할 수 없습니다.

R2)

conf t

router ospf 2

area 1 stub no-summary

 

R1의 라우팅 상태)

R1에서 외부 라우터 및 다른 에어리어의 라우팅 정보가

축약되서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SSA (Not So Stub Area)

토털리 스터브 에어리어는 ABR에서만 선언해 주어야 하며

ASBR이나 Backbone 라우터에서는 선언할 수 없습니다.

 

외부 라우터가  에어리어와 연결되어 있을 때

서로 다른 타입의 LSA Packet이 충돌하여 스터브 선언을 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BR이 포함된 한 에어리어를 NSSA로 선언해

LSA Packet Type를 7로 늘려 충돌을 피할수 있습니다.

 

 

LSA Packet Type 1

 - 동일한 에어리어의 라우터에게 정보를 전송

 

show ip ospf database router

 

 

LSA Packet Type 2

 - DR라우터가 만드는 정보

    네이버 관계가 형성된 라우터에게 정보를 전송

 

show ip ospf database network

 

 

LSA Packet Type 3

- ABR라우터가 만드는 정보

ABR이 다른 에어리어에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자신에 에어리어에게 알려줄 때 사용

 

show ip ospf database summary

 

 

LSA Packet Type 4

 - ABR라우터가 만드는 정보

   ASBR 라우터의 정보를 내부 에어리어에게 알려줄 때 사용

 

shiw ip ospf database asbr-summary

 

 

LSA Packet Type 5

 - ASBR 라우터가 만드는 정보

   외부 라우터의 정보를 OSPF도메인으로 알려줄 때 사용

 

show ip ospf database external

 

 

 

트랜짓 에어리어

트랜짓 에어리어는 백본 에어리어와 떨어져 있어

통신이 되지 않는 에어리어를 말합니다.

 

 

R1의 라우팅 정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rea 2와 Area 0을 가상회선으로 연결하여

가상으로 백본과 트랜짓 에어리어가

연결된 것처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가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Virtual Link와 Tunnel이 있습니다.

 

 

 

Virtual Link

R2)

conf t

router ospf 1

area 1 virtual-link 172.16.3.1

# 172.16.3.1 IP와 virtual-link를 할 것은 선언합니다.

router-id 172.16.2.1

# 상대방이 Virtual-Link를 걸어줄 ID를 생성합니다.

end

clear ip ospf process

# router-id 변동을 적용하기 위해 ospf를 재실행합니다.

y

R3)

conf t

router ospf 1

area 1 virtual-link 172.16.2.1

router-id 172.16.3.1

end
clear ip ospf process

y

 

 

이제 R1으로 라우팅 정보가 넘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rtual-link는 라우팅 정보가 넘어오는 시간이 늦으며

router-id의 적용을 위해 라우팅을 재시작 해야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Tunneling

R2)

conf t

interface tunnel 23

# 터널 번호는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며 상대와 달라도 상관없습니다.

ip add 172.16.32.2 255.255.255.0

# 터널의 출발지 아이피를 새로 생성합니다.

tunnel source serial 1/1

# source = 시작점, 즉 터널을 시작할 인터페이스 혹은 아이피 주소

tunnel destination 172.16.23.3

# destination = 목적지, 즉 터널의 도착지 인터페이스 혹은 아이피 주소

router ospf 1

network 172.16.32.0 0.0.0.255 area 0

# 터널 주소도 라우팅 네트워크에 추가해 줍니다.

# 이 때 AREA 2를 AREA 0과 연결하는 터널이므로

# 터널 네트워크를 AREA 0 으로 선언해 주어야 합니다.

R3)

conf t

interface tunnel 23

ip add 172.16.32.3 255.255.255.0

tunnel source serial 1/1

tunnel destination 172.16.23.2

router ospf 1

network 172.16.32.0 0.0.0.255 area 0

 

R1에서 확인 결과 모든 라우팅 정보가 들어오며

연결 속도도 Virtual-Link에 비해 빠릅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