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k7 님의 블로그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101)
      • C (1)
      • Python (3)
      • InfoSec (30)
      • Network (31)
      • Linux (21)
      • Server (8)
      • Database (5)
  • 홈
  • 태그
  • 방명록
Linux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

CD/DVD에 우분투 설치 iso를 마운트 해줍니다.    유저 이름과 서버 이름, 암호를 생성SSH를 사용할 것이므로 SSH 설치에 체크 이제 설치가 진행됩니다. Reboot Now가 뜨면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Reboot Now를 선택하면 언마운트가 실패했다는 메시지가 뜹니다.엔터키를 누르면 재부팅 됩니다.  sudo su -# 루트로 로그인하기passwd# 루트 패스워드 변경하기init 6# 처음부터 루트로 로그인하기 위해 재부팅   SSH 허용하기 (방화벽 해제 및 root 접근 허용)install -vim# vim 에디터 설치vim /etc/ssh/sshd_config# vim 에디터로 ssh 설정파일 열기ssh로 루트 로그인을 허용하는 항목(33번째줄)을 yes로 변경후 저장(:wq) sy..

2024. 7. 19. 17:06
Linux

Linux와 GNS3 연결하기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의 스위치와 Linux를 연결하려 합니다. VMware 설정    GNS3 설정     Linux 설정

2024. 7. 15. 13:02
Linux

LVM

하드디스크 관리  1) 리눅스 확장 -> 83     리눅스 swap -> 82  2) RAID 구축   -> fd  3) LVM 구축    -> 8e  4) Disk Quota 리눅스 LVM (Logical Volumn Manager)  - 논리 하드 관리자  - 최근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LVM 작업 순서1. 하드디스크 장착 후 LVM 타입 선언(8e)2. PV 선언 : 하드디스크를 LVM으로 지정3. VG 생성: 선언된 하드디스크를 단일 하드디스크로 재생성4. LV 생성 : VG에서 선언한 볼륨을 실제 파티션으로 사용   하드디스크 LVM타입으로 초기화 설정(8e)fdisk /dev/sdl -> n을 입력해 새 파티션 생성 -> t를 입력한 후 8e를 입력해 LVM타입..

2024. 7. 8. 10:50
Linux

RAID 10

RAID 10은 RAID1과 RAID0을 복합해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하드가 4개 있을 경우, 2개씩 RAID0으로 묶은 후2개의 RAID를 다시 RAID1로 묶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RAID0 2개를 RAID1로 묶는것과RAID1 2개를 RAID0을 묶는 것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Case1RAID0 두개를 RAID1로 묶은 경우    RAID0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다른 하나는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Case2 RAID1 두개를 RAID0으로 묶은 경우    RAID1 하나를 장애선언 하는것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RAID1에 포함된 하드를 하나만 장애선언 하는것은 가능하며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md11에 포함된 sdf1은 고장났지만이중화가 되어 있으므로 md1..

2024. 7. 5. 16:34
Linux

RAID

RAID 0 (스트라이프)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로 합쳐 단일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합니다. -> 장애가 일어나면 사용이 불가능하나 속도가 빠릅니다. -> 데이터가 저장되는 순서 없이 랜덤으로 저장됩니다. RAID Linear -> RAID0과 유사하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됩니다. RAID 1 -> 디스크 미러링이라고도 하며, 중복 저장된 여러개의 드라이브로 구성됩니다. -> 여러 드라이브를 동시에 읽으므로 읽기 성능이 향상되며, 쓰기성능은 그대로 입니다. -> 미러링한 숫자만큼의 하드가 더 필요하므로 구성 비용이 많이 듭니다. RAID 5 -> 각 하드에 일정 공간의 패리티 어레이를 만듭니다. -> 패리티 어레이는 점검용으로 사용하며 데이터를 재구성하는데 사용됩니다. -> 총 패리티는 하드 1..

2024. 7. 4. 17:41
Linux

하드디스크

1) 파티션 2) LVM 3) RAID 4) Disk Quota  하드디스크 타입 1) HDD  -> 구형 PC 장착, 최대 4개 2) SATA  -> 최근 PC 장착, 최대 6개 3) SCSI  -> 서버 전용,      최대 15개 (Hot Swap 포함                                      전원이 켜진 상태로 하드디스크를 교체하는 기능) 하드디스크 장착 확인1) lsblk2) fdiskfdisk -l /dev/sda 하드디스크 표기법/dev/sda1     /dev/hdb3 /dev : 하드웨어 정보를 갖고 있는 디렉터리h -> hdd 타입을 의미 (병렬타입)s -> SATA 또는 SCSI타입을 의미 (직렬타입 -> Serial)d -> disk drivea -> 서버(..

2024. 7. 3. 11:45
  • «
  • 1
  • 2
  • 3
  • 4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01)
    • C (1)
    • Python (3)
    • InfoSec (30)
    • Network (31)
    • Linux (21)
    • Server (8)
    • Database (5)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jtk7 님의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